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 정보/국가정책, 뷰티 , 건강

2024년 12월 1일부터 5인승 이상 자동차 소화기 설치 의무화

by Chamlove Ariss 2025. 1. 30.

    [ 목차 ]
728x90

2024년 12월 1일부터 5인승 이상 자동차 소화기 설치 의무화

 

12월 1일부터 5인승 이상 자동차 소화기 설치 의무화

 

최근 3년간 11,398건의 차량 화재가 발생하면서 화재 발생 건수와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차량화재의 위험을 줄이고 보다 안전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5인승 이상 자동차 내 소화기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 개정을 시행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화 개요

 

🚗 시행일: 2024년 12월 1일부터

12월 1일부터 5인승 이상 차량에는 소화기 설치가 의무화 됐습니다. 차량 화재는 승차 정원과 관계없이 기계적 요인, 부주의,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차량에서 소화기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무 설치 대상

5인승 이상 승용차 및 승합차

신차 및 중고차 포함 (소급 적용 대상 확인 필수)

자동차 검사 시 소화기 설치 여부 확인

 

🔥 꼭 확인해야 할 사항

본체 용기에 “자동차 겸용”이라고 표시된 소화기를 구입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비치하여 긴급 상황에 대비

차량에 적합한 용량과 성능을 갖춘 제품 선택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

 

📌 관련 법령: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 시행일: 2024년 12월 1일

🚘 5인승 이상 자동차 내 소화기 설치·비치 의무화

📌 소급 적용 대상

✔ 2024.12.1 이후 제작·조립·수입·판매되는 모든 자동차
✔ 2024.12.1 이후 소유권이 이전되어 등록되는 중고차


❌ 2024.12.1 이전 구매·등록된 자동차는 소급 적용 대상 제외

 

📌 자동차 검사 시 확인 사항

 

신규검사, 정기검사 등 자동차 검사 시 소화기 설치 여부 점검

미설치 시 검사 통과 불가

📌 법정 차량용 소화기 기준

✅ 용기 표면에 ‘자동차 겸용’ 표시 필수
✅ 자동차 진동 및 고온에도 파손·변형되지 않아야 함
❌ ‘자동차 겸용’ 표시가 없는 일반 분말소화기 또는 에어로졸식 소화기는 부적합

 

 

 

차량용 소화기 설치 및 비치 방법

 

🚙 설치 수량 및 위치

5~9인승 차량: 소화기 1개 이상 비치

10인승 이상 차량: 최소 2개 이상 비치

운전석에서 쉽게 접근 가능한 곳에 설치

 

🚗 자동차용 소화기 구매 가이드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인증 제품 확인

운전 중 흔들림 방지를 위한 고정 장치 포함 제품 선택

차량 적재물과 섞이지 않도록 별도 거치대 활용

 

 

 

 

차량 화재 발생 시 대응 요령

 

🚨 차량 화재 초동 대처 방법 🚨

🚗 차량을 즉시 정차하고 시동을 끕니다.

👨‍👩‍👧‍👦 탑승객 전원 신속히 대피 후 안전한 거리 유지

🚒 소화기를 사용하여 초기 진화 (화염이 크면 즉시 119 신고)

 

📞 119에 신고 후 차량 위치와 상황을 정확히 전달

 

🚨 연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될 경우 차량 문을 열지 말고 창문을 살짝 열어 배출

 

🔥 소화기 사용 방법 (PASS 원칙) 🔥

Pull: 안전핀 제거

Aim: 화재 중심부를 향해 노즐 조준

Squeeze: 손잡이를 눌러 소화제 방출

Sweep: 불이 난 부분을 좌우로 분사

 

 

 

 

결론: 차량용 소화기 설치, 왜 중요할까?

🚘 도로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초기에 소화기로 진압하면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 차량용 소화기 설치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 2024년 12월 1일부터 법령이 개정되므로 미리 준비하세요!
✅ 승용차 운전자도 반드시 ‘자동차 겸용’ 소화기를 구비해야 합니다.
✅ 자동차 검사 시 소화기가 없으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전한 운전을 위해 지금 바로 차량용 소화기를 준비하세요!

728x90